2023.08.31 - [분류 전체보기] - HUG전세보증보험 자세한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HUG전세보증보험 자세한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최근 전세사기가 늘어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HUG전세보증보험 가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가입하려고 보면 굉장히 어렵고 무슨 말인지 잘 모르시는 내용들이 많았을 거예요.
sdw4179.tistory.com
어제는 HUG전세보증보험의 가입조건,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전세보증보험에서 가장 중요한 우리가 들어가려는 집을 얼마에 전세계약을 해야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지를 알아볼 거예요.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 필자는 법무법인 소속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와 민간전세임대 권리분석 및 계약을 업으로 하고 있기에 정확하게 전세보증보험 계약방법에 대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꼭 잘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보증조건은?
지금부터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보증금 한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일단 먼저 서류 2가지를 보겠습니다.
1. 등기부등본
2. 건축물대장
먼저 등기부등본에서 확인하셔야 되는 사항은 경매신청, 압류, 가압류, 가처분, 가등기 가 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위 설정이 하나라도 되어있으면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하오니 웬만하면 다른 집으로 계약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근저당 설정 등 선순위 채권을 확인하셔야 해요. 근저당이 있다고 무조건 가입이 안되는건 아니니 금액을 체크해 두시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건축물대장은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건축물용도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어떤 건물이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안되는지는 앞선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또한 불법건축물 표기가 되어있는 집, 불법증축 및 개축을 한 주택도 가입이 불가하니 참고해 주세요.
전세보증보험 계산방법 은?
자 이제 전세 보증금 얼마로 계약을 해야 전액을 다 보증받을 수 있을지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단독주택, 다가구주택은 계산방법이 많이 복잡하기 때문에 기회가 된다면 따로 한 번 더 포스팅해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빌라, 다세대주택, 아파트 등 등기가 따로 분리되어 있는 물건에 대한 계산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들어가려는 아파트의 시세 산정을 해야 하는데요
HUG에서 인정하는 가격정보는 여러 개가 있지만 사실상 2개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1. KB시세
2. 부동산 공시가격
먼저 KB시세는 KB부동산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확인이 가능하신대요. 여기서 조심하셔야 될 건 부동산뱅크에서 고시되어 있는 금액은 사용이 불가하다는 걸 알고 계셔야 합니다.
KB시세는 평균가, 상한가, 하한가 3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최하층, 최상층은 하한가로 나머지 층수는 평균가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KB시세로 가입가능 보증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쉽습니다. (KB시세 x 90%) 이내로 전세계약을 하신다면 전액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KB시세가 2억 원이라고 한다면 2억원x90% = 1억8000만원 즉 전세금액을 1억8000만원 이하로 계약하신다면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는 부동산 공시가격인데요. 보통 이름 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들은 KB시세가 나오지만 빌라나 다세대주택은 KB시세가 안나옵니다 그럴 경우엔 공시가격으로 계산해 보시면 되는데요.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에서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를 운영 중이기에 거기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공시가격을 통한 계산방법은 (공시가격x126%) 이내로 전세계약을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공시가격이 1억이라고 한다면 1억원x126% = 1억2600만원, 전세금 1억2600만원 이하로 계약하시면 됩니다.
다만 위 계산에서 앞서 말씀드린 근저당 등 선순위 채권이 있다면 그 금액을 다 빼셔야 합니다.
만약 KB시세 2억짜리 전세집인데 근저당이 1억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2억x90% = 1억8000만원 - 근저당 1억 = 8000만원 즉 8000만원까지 밖에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지 않으니 위 내용도 꼭 알고 계시고 웬만하면 근저당은 말소조건이나 없는 집으로 이사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누구나 손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요.
아마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곳은 찾기 힘들었을 거라 생각이 들어요.
다만 위내용은 정말 단편적으로 쉽게 계산이 가능한 물건들을 예로 들었고 사실 실제론 어떤 변수가 있을지 모릅니다.
따라서 꼭 전세계약을 하시기 전에 전세보증보험 가입가능 여부를 전문가나 은행을 통해 알아보시고 계약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저 또한 전세로 살고 있으면서 보증보험 가입을 해둔 상태인데요. 저렴한 가격으로 내 자산을 안전하게 보증할 수 있는 정책인 만큼 꼭 챙기셔서 우리의 자산을 지키시길 바라겠습니다.
'부동산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갱신청구권 자세히 알아봅시다! (묵시적갱신과 비교까지) (1) | 2023.09.07 |
---|---|
주택임대차 묵시적갱신 계약기간 및 조건 (0) | 2023.09.06 |
신생아특례 전세 및 매매 저금리 대출 알아보기 (0) | 2023.09.05 |
신생아 특공 개요 및 조건 (0) | 2023.09.04 |
HUG전세보증보험 자세한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3.08.31 |